직장인 68%, 업무스트레스로 '불안증' 시달려
직장인들 가운데 상당수가 직무 스트레스 때문에 불안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단국대의대 가정의학과교실이 지난해 천안, 아산 지역과 서울 지역 직장인 235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불안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8.2%가 불안증을 호소했다.
연령별로는 20~29세의 젊은 직장인군에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증이 74.5%로 가장 높았고, 월평균 소득으로는 100만~200만원대 군에서 74.5%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특히 직무 특성별 설문에서는 준전문가 집단과 서비스직 등 업무결정권이 없고 단순 작업을 요구받아 직무 자율성이 낮은 고긴장 집단의 불안성향이 82.1%로 가장 높았다.
결혼 여부도 직장인의 불안성향에 영향을 미쳐다.
업무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성향은 기혼 직장인의 경우 65.8%인 반면 미혼 직장인은 73.1%가 불안성향을 호소했다.
흡연 및 음주의 경우 담배를 피우는 직장인의 75%가 불안성향을 보여 비흡연자군(64.4%)보다 높았고, 음주 여부에 따른 불안성향 편차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이밖에 근무기간으로는 1~5년차 직장인군에서 불안성향이 71.6%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직장인들 가운데 상당수가 직무 스트레스 때문에 불안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단국대의대 가정의학과교실이 지난해 천안, 아산 지역과 서울 지역 직장인 235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불안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8.2%가 불안증을 호소했다.
연령별로는 20~29세의 젊은 직장인군에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증이 74.5%로 가장 높았고, 월평균 소득으로는 100만~200만원대 군에서 74.5%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특히 직무 특성별 설문에서는 준전문가 집단과 서비스직 등 업무결정권이 없고 단순 작업을 요구받아 직무 자율성이 낮은 고긴장 집단의 불안성향이 82.1%로 가장 높았다.
결혼 여부도 직장인의 불안성향에 영향을 미쳐다.
업무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성향은 기혼 직장인의 경우 65.8%인 반면 미혼 직장인은 73.1%가 불안성향을 호소했다.
흡연 및 음주의 경우 담배를 피우는 직장인의 75%가 불안성향을 보여 비흡연자군(64.4%)보다 높았고, 음주 여부에 따른 불안성향 편차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이밖에 근무기간으로는 1~5년차 직장인군에서 불안성향이 71.6%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