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노동] 두산중공업 산재은폐 공동조사단 구성할 듯

두산중공업 산재은폐 공동조사단 구성할 듯

건설연맹 “산재은폐 의혹 재조사하라”…26일 기자회견서 계획 발표

지난 5일 부천의 두산중공업 아파트 현장에서 발생한 건설노동자 사망사건에 대해 산재은폐 의혹이 계속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노동시민사회단체의 ‘공동조사단’이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산업연맹은 25일 “지난 5일 두산중공업 현장에서 건설일용노동자 유아무개씨가 머리 정수리에 움푹 패인 상처와 뒷목에 상처를 입고 심장발작으로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며 “그러나 당시 두산중공업에서는 사고가 발생하고 6시간 동안 관련자들의 진술을 맞추고 현장을 치우고 나서야 경찰에 신고했다”고 주장하며 산재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또 건설산업연맹은 “더욱이 노동부는 사업주의 지병으로 인한 심근경색이 사인이란 말만 듣고 사인불명으로 부검까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현장조사를 전혀 실시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노조가 지난 7일 이후 몇 차례 현장조사를 요구하고 산재은폐 신고를 접수했음에도 직무규정대로 할 뿐이라며 현장조사를 거부하며 사고발생 후 4일간이나 현장을 방치했다”고 노동부를 비난했다.

이와 관련, 부천노동사무소는 사고가 발생한지 나흘만인 지난 8일 유족을 참관시킨 채 산업안전공단과 같이 현지조사를 벌인 바 있다. 또한 회사의 당초 주장과는 달리 사인을 심근경색으로 보기 어려운 사인불명으로 나오자 경찰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사체부검을 요청, 그 결과가 최근 심근경색으로 나온 것이다.

그러나 건설산업연맹은 “부검 결과는 직접사인은 심근경색이나 심근경색 유인요인일 수 있는 외부충격과 머리에 난 상처가 외부충격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재수사하라”고 촉구하며 “산업안전공단의 지난 8일 현지조사 의견서에도 현장의 안전조치가 미비해 낙하물에 맞았거나 추락에 의한 재해일 가능성이 높고 머리부위에 상처와 현장 정황으로 보면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고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의견을 제출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건설산업연맹은 26일 오전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경기중부건설노조, 유가족, 단병호 의원실, 산재사망 대책마련 캠페인단(양대노총·민주노동당·노동건강연대·매일노동뉴스)과 진상조사단 구성계획 및 활동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연윤정 기자 yon@labortoday.co.kr


 
 
한노보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