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안전]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겸직 등 허점 드러나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겸직 등 허점 드러나
 
노동부 국감서 김영주 열린우리당 의원 주장

사망재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건설업종의 전담 안전관리자들이 겸직 등으로 안전업무를 제대로 하진 못하는 등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허점이 들어 난 것으로 지적됐다.

23일 노동부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2005년 국정감사에서 김영주 열린우리당 의원은 도급순위 100대 건설업체의 공사금액 120억(토목공사 150억)이상 현장 3944곳 중 65곳이 전담 안전관리자를 겸직으로 선임한 사례가 적발 됐다며 이에 대한 대책을 추궁했다.

이와관련 김 의원은 “현대건설, 대림산업, GS건설 등 주요 건설업체가 다수 포함돼 있다”며 “전담안전관리자 겸직 금지 위반업체에 대한 처벌과 겸직 실태조사와 산업안전관리비 사용 실태에 대해 전면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노동부에 재발방지책 마련을 주문했다.

배일도 한나라당 의원은 산재은폐 적발 건수가 2003년 674건, 2004년 2140건이었던 것이 올 6월말 현재까지 1477건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시 성북구청 12건, 예천우체국, 대한지적공사 등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 등도 산재은폐에 한 몫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사회적 책임이 큰 대기업이 산재은폐가 더욱 심각해 2003년 두원정공 79건, 동원금속 38건을 비롯해 2004년 한진중공업 10건, GS 칼텍스 정유 3건 등 산재 은폐가 조직적이고 관행적으로 자행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매일안전뉴스] 
 
한노보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