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어 올해 산업재해 감소세
<노동부 3월말 산재 발생현황>
재해자수․사망자 각각 11% 감소
지난해부터 감소세를 보이던 산업재해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23일 노동부가 발표한 ‘3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산업재해자수는
1만8,32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만649명에 비해 2,321명(11.2%)이 감소했다.
사망자수도 591명으로 전년 동기 666명과 비교해서 75명(11.3%) 줄었다.
업종별 재해자수를 보면 제조업이 8,234명(45%)으로 가장 많고, 건설업 2,986명,
운수창고통신업 1,070명, 광업 491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전
업종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규모별로 보면 5~49인 8,073명, 5인 미만 4,332명 등 50인 미만 사업장이 전체 재해자의
67.7%(1만2,405명)를 차지했으며 100~299인 1,854명, 1천인 이상 1,535명, 50~99인
1,496명, 300~999인 1,038명 순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재해자수도 지난해에 비해 모두
줄었다.
한편 노동부는 지난 1월 산재예방을 위해 5대 분야 15대 정책과제와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세부추진과제 113개로 구성된 ‘산업재해 예방정책 5개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노동부는 5년 동안 △취약한 안전·보건 부문 강화 △사업장의 자율적인 산재예방 활동
촉진 △노동자의 건강증진 △사업장의 책임강화 △산업안전보건의 선진화 등 5대 분야에
행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일노동뉴스 5/24]
<노동부 3월말 산재 발생현황>
재해자수․사망자 각각 11% 감소
지난해부터 감소세를 보이던 산업재해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어 주목된다.
23일 노동부가 발표한 ‘3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따르면 산업재해자수는
1만8,32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만649명에 비해 2,321명(11.2%)이 감소했다.
사망자수도 591명으로 전년 동기 666명과 비교해서 75명(11.3%) 줄었다.
업종별 재해자수를 보면 제조업이 8,234명(45%)으로 가장 많고, 건설업 2,986명,
운수창고통신업 1,070명, 광업 491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전
업종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규모별로 보면 5~49인 8,073명, 5인 미만 4,332명 등 50인 미만 사업장이 전체 재해자의
67.7%(1만2,405명)를 차지했으며 100~299인 1,854명, 1천인 이상 1,535명, 50~99인
1,496명, 300~999인 1,038명 순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재해자수도 지난해에 비해 모두
줄었다.
한편 노동부는 지난 1월 산재예방을 위해 5대 분야 15대 정책과제와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세부추진과제 113개로 구성된 ‘산업재해 예방정책 5개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노동부는 5년 동안 △취약한 안전·보건 부문 강화 △사업장의 자율적인 산재예방 활동
촉진 △노동자의 건강증진 △사업장의 책임강화 △산업안전보건의 선진화 등 5대 분야에
행정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매일노동뉴스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