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건축 교육 현장과 노동 현장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습니다.
예비 노동자와 건설/설계 현장의 노동자는 서로 다르지 않음에도...
현실과 멀기만 한 건축 교육과 현장에서의 메마른 노동환경은
우리의 발전을 가로막는 악순환의 고리였습니다.
그 고리를 끊기 위해...
예비노동자와 현장노동자가 함께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하는 장을 펼칩니다.
혼자서 끌어안은 고민은 공허할 뿐이지만,
나누고 함께할 때, 그것은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되기도 합니다.
설계노조 건축학교에서는
설계판의 근본적인 모순과 함께 지금껏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온 주제들을 다룸
으로써,
건축 분야와 사회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을 키우고자 합니다.
무엇보다, 일그러진 우리 사회와 역사 속에서
한 사람의 노동자로서의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서로의 인식을 공유하고 진지한 의견들이 오가는 과정을 통해,
건축 설계판의 밝은 내일을 위한 든든한 주춧돌이 마련될 것입니다.
이제... 우리 모두,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힘찬 희망의 발걸음을 시작합시다.
섬세한 열정과 진실한 마음을 지닌,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설계노조 제 2기 건축학교>
- 개요 -
[주제] 이제..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일시] 2005. 8.27 ~ 2005.11.18 - 매 격주 토요일 오후 4시
(총 7강, 제 2,4강은 추후 별도 공지)
[장소] 설계노조 지하강당
- 지하철 6호선 망원역 1번 출구 도보 5분
[대상] 직종, 전공에 상관없이 관심 있는 누구나
[회비] 3만원 (자료집, 티셔츠 포함)
[강의 일정 및 내용]
*******************
제 1강 (2005. 8. 27)
- 1부 : 입학식
- 2부 : 대한민국, 정체성과 노동자의 삶.
<하종강 소장, 한울노동문제연구소>
제 2강 (2005. 9. 10)
- 1부 : 설계와 시공, 제자리 찾기 (시공현장 답사)
- 2부 : 남한사회 건설자본과 건설산업의 구조.
<강호연 정책실장, 건설산업연맹>
제 3강 (2005. 9. 24)
- 1부 : 2005년 시장개방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이철호 부소장, 전교조 참교육연구소>
- 2부 : 설계시장 개방, 대안은 무엇인가?
<설계노조 정책부>
제 4강 (2005. 10. 8)
- 일제강점기 식민지건축: 시설, 조직, 인물별 탐색.
< 설계노조 소모임 바보근성(바로보는 근현대 남한 건축사 성찰)>
제 5강 (2005. 10. 22)
- 역사 속에 길이 있다. 우리건축 이야기.
<신영훈 원장, 한옥문화원>
제 6강 (2005. 11. 5)
- 1부 : 설계사무소 양성평등의 현실
<설계노조 조사통계부>
- 2부 : 여성건축가와의 만남
<이민아 소장, 협동원건축 대표>
제 7강 (2005. 11. 19)
- 1부 : 졸업식
- 2부 : 이제...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 2기 건축학교 모든 참가자들의 희망 만들기.
--------------------- * ---------------------
참가신청 및 문의사항은
설계노조 사무실
울림통 : 02)3143-2441 이나 이메일 : spetu@naver.com
또는
설계노조 누리집 http://spetu.org 의 건축학교 방이나
싸이월드의 열린 공간 http://anotherarchitecture.cyworld.com/ 을 이용해주
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