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제4회 아시아인권포럼
아시아에서의 이주 노동자의 기여와 현지인의 인식
초대의 글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1990년)이 국제규범으로 제정된 지 올해로 18년이 지났습니다. 2003년 7월 1일자로 공식 발효하였고, 2008년 12월 17일 현재 40개국이 비준하였으나, 57만의 이주노동자가 거주하고 있는 한국은 아직 비준은 물론이고, 서명조차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제 4회 아시아인권포럼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의 아시아 목적국에서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 문화적 영향을 조명해 보고,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인식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께서 참석하셔서, 인권의 빛을 아시아로 비추는 데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HE 4th ASIA HUMAN RIGHTS FORUM
Migrant Workers’ Economic Contributions, the Social and Cultural Effects in Asia and Local Perception of Migrant Workers in Asia
INVITATION
It has been 18 years sinc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was enacted. The Convention officially entered into foracece on July 1. 2003. By December 17, 2008, forty countries had ratified this convention. However, South Korea, with 570,000 migrant workers in residence, has not yet signed this Convention.
Many migrant worker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stination countries. However, their contribution
has not been estimated fairly. The 4th Asia Human Rights Forum will re-evaluate migrant workers’ contributions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effects in Asia. Also with comparison of local perceptions on migrant workers in several Asian countries, we plan to explore ways to develop migrant workers’ rights in Asia.
We welcome all of you and hope you will join us in igniting the light of human rights in Asia.
2009년 1월
사단법인 아시아인권센터 소장 허만호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호마윤 알리자데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 평화연구소 소장 방형남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무소 대표 사치코 야마모토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서리 김병기
주최: (사)아시아인권센터,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 평화연구소
후원: 동아일보, 대한항공, 삼성전자, SBS
일시: 2009년 2월 17일 화요일 09:00 ~18:00
장소: 고려대학교 국제관 국제회의실 (214호)
일정
2월 17일 (화)
09:00 등록
09:30 개회식
사회 │ 원재천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교육훈련부장 / 한동대 국제법률대학원 교수
개회사 │ 허만호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소장 / 경북대학교 교수
환영사 │ 팀 드 마이어 태국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국제노동기준 전문가
축사 │ 김학준 한국 동아일보 회장 /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ㆍ21세기 평화연구소 이사
김병기 한국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서리
기조연설 │ 아시아 이주노동자의 권리보호와 현지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개선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10:30 제1세션│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인식개선방향 모색
사회 │ 설동훈 한국 전북대학교 교수
발표 │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이주노동자의 사회적·문화적 영향
윤인진 한국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주노동자의 한국 경제에 대한 기여도
송백석 한국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연구교수
이주노동자의 법적지위: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황필규 변호사 한국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 정책제언 및 인식개선프로그램
송주영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선임연구원
토론 │ 김정도 한국 법무부 체류정책팀 사무관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12:30 점심
14:00 제2세션│아시아내 목적국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영향
사회 │ 서창록 한국 아시아인권센터 부소장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발표 │ 일본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적·문화적 영향
마사오 고바야시 일본 와세다대학 박사과정
일본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타카야 사치 일본 Solitary Network with Migrants Japan(SMJ) 부사무총장
대만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적·문화적 영향
왕홍젠 대만 중산대 교수
대만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칭주 우 대만 Taiwan International Workers Association 사무총장
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영향
아디손 키드몽콜 태국 타마셋대학교 박사과정
유럽에서의 성공적인 이주노동정책사례
팀 드 마이어 태국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ILO노동기준 전문가
토론 │ 채형복 한국 경북대학교 교수
김철효 한국 국제이주기구(IOM) 한국 대표부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16:00 휴식
16:10 전략회의
사회 │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지역사무소 대표
토론 │ 아디손 키드몽콜, 고바야시 마사오, 칭주 우, 팀 드 마이어, 윤인진, 황필규
18:00 폐회식
사회 │ 원재천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교육훈련부장 /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 교수
종합보고 │ 허만호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소장 / 경북대학교 교수
폐회사 │ 윤현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이사장
참가 신청: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사전접수를 2월 6일까지 받고 있습니다. 아시아인권센터 홈페이지를 통하여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achumanrights.org/asia_HR_Forum/4th/index.html
문의: 김정림 총무차장, 유주영 간사 전화: 02-723-1673 팩스: 02-723-1671
이메일 jforest@achumanrights.org or hrt@achumanrights.org 홈페이지 http://www.achumanrights.org
아시아에서의 이주 노동자의 기여와 현지인의 인식
초대의 글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1990년)이 국제규범으로 제정된 지 올해로 18년이 지났습니다. 2003년 7월 1일자로 공식 발효하였고, 2008년 12월 17일 현재 40개국이 비준하였으나, 57만의 이주노동자가 거주하고 있는 한국은 아직 비준은 물론이고, 서명조차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제 4회 아시아인권포럼에서는 이주노동자들의 아시아 목적국에서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 문화적 영향을 조명해 보고,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인식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께서 참석하셔서, 인권의 빛을 아시아로 비추는 데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HE 4th ASIA HUMAN RIGHTS FORUM
Migrant Workers’ Economic Contributions, the Social and Cultural Effects in Asia and Local Perception of Migrant Workers in Asia
INVITATION
It has been 18 years sinc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was enacted. The Convention officially entered into foracece on July 1. 2003. By December 17, 2008, forty countries had ratified this convention. However, South Korea, with 570,000 migrant workers in residence, has not yet signed this Convention.
Many migrant worker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stination countries. However, their contribution
has not been estimated fairly. The 4th Asia Human Rights Forum will re-evaluate migrant workers’ contributions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effects in Asia. Also with comparison of local perceptions on migrant workers in several Asian countries, we plan to explore ways to develop migrant workers’ rights in Asia.
We welcome all of you and hope you will join us in igniting the light of human rights in Asia.
2009년 1월
사단법인 아시아인권센터 소장 허만호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호마윤 알리자데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 평화연구소 소장 방형남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무소 대표 사치코 야마모토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서리 김병기
주최: (사)아시아인권센터,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 평화연구소
후원: 동아일보, 대한항공, 삼성전자, SBS
일시: 2009년 2월 17일 화요일 09:00 ~18:00
장소: 고려대학교 국제관 국제회의실 (214호)
일정
2월 17일 (화)
09:00 등록
09:30 개회식
사회 │ 원재천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교육훈련부장 / 한동대 국제법률대학원 교수
개회사 │ 허만호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소장 / 경북대학교 교수
환영사 │ 팀 드 마이어 태국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국제노동기준 전문가
축사 │ 김학준 한국 동아일보 회장 / 동아일보 부설 화정평화재단ㆍ21세기 평화연구소 이사
김병기 한국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서리
기조연설 │ 아시아 이주노동자의 권리보호와 현지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개선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10:30 제1세션│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인식개선방향 모색
사회 │ 설동훈 한국 전북대학교 교수
발표 │ 한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이주노동자의 사회적·문화적 영향
윤인진 한국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주노동자의 한국 경제에 대한 기여도
송백석 한국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연구교수
이주노동자의 법적지위: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황필규 변호사 한국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한 정책제언 및 인식개선프로그램
송주영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선임연구원
토론 │ 김정도 한국 법무부 체류정책팀 사무관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 지역사무소 대표
12:30 점심
14:00 제2세션│아시아내 목적국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영향
사회 │ 서창록 한국 아시아인권센터 부소장 /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발표 │ 일본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적·문화적 영향
마사오 고바야시 일본 와세다대학 박사과정
일본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타카야 사치 일본 Solitary Network with Migrants Japan(SMJ) 부사무총장
대만에서의 이주노동자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적·문화적 영향
왕홍젠 대만 중산대 교수
대만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이주노동자의 노동권, 정치권, 사회문화권
칭주 우 대만 Taiwan International Workers Association 사무총장
태국의 이주노동자 정책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영향
아디손 키드몽콜 태국 타마셋대학교 박사과정
유럽에서의 성공적인 이주노동정책사례
팀 드 마이어 태국 국제노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 ILO노동기준 전문가
토론 │ 채형복 한국 경북대학교 교수
김철효 한국 국제이주기구(IOM) 한국 대표부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16:00 휴식
16:10 전략회의
사회 │ 호마윤 알리자데 태국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동남아시아지역사무소 대표
토론 │ 아디손 키드몽콜, 고바야시 마사오, 칭주 우, 팀 드 마이어, 윤인진, 황필규
18:00 폐회식
사회 │ 원재천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교육훈련부장 /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 교수
종합보고 │ 허만호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소장 / 경북대학교 교수
폐회사 │ 윤현 한국 (사)아시아인권센터 이사장
참가 신청: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사전접수를 2월 6일까지 받고 있습니다. 아시아인권센터 홈페이지를 통하여 등록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achumanrights.org/asia_HR_Forum/4th/index.html
문의: 김정림 총무차장, 유주영 간사 전화: 02-723-1673 팩스: 02-723-1671
이메일 jforest@achumanrights.org or hrt@achumanrights.org 홈페이지 http://www.achumanright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