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뉴스] 무엇을 위해 잠자는 시간 조절하나 (한겨례)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609968.html

 

[건강] 건강 렌즈로 본 사회

대한민국은 항상 깨어 있다. 발전소나 병원만 24시간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반도체나 자동차를 만드는 공장이나 패스트푸드점, 카페 등도 24시간 돌아간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늘 피곤하다. 이른 아침 지하철은 거대한 수면실이고, 각종 피로회복제 등이 날개 돋힌 듯 팔린다.

이번에 소개할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의 수면이 과연 적절한가를 다루는 것이다. 수면 문제를 주로 탐구해왔던 윌리암스 영국 워익대 교수팀은 올해 간행된 <사회과학과 의학> ‘수면 특집호’에 한 논문을 발표했다. 제목은 ‘의료화인가, 맞춤화인가? 365일 24시간 깨어있는 사회에서의 수면, 기업, 고양’인데, 일터에서의 낮잠을 허용하는 것과 각성제 확대라는 두 사례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잠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드러내고자 했다.

 

 

이 논문의 관점에서 보면 교대 근무 노동자에게 휴식과 수면을 보장해야 한다는 ‘안전보건론’, 중고등학생들이 충분히 잘 수 있게 하자는 ‘건강담론’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잠은 고요한 꿈나라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최후의 격전장이자 정치적 공간이다. 왜 우리는 잠을 조절해야 하는가? 누가 우리의 생물학적 시계를 멋대로 돌려놓고 있는가? 한국 사회에 보다 근본적인 질문이 필요하다.

김명희 시민건강증진연구소(health.re.kr) 상임연구원

10
Posted in 미분류

댓글

댓글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정보통신 운영규정을 따릅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