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참세상] KT 상품판매팀 절반 정신과 치료 필요

KT 상품판매팀 절반 정신과 치료 필요 
‘KT 상품판매 전담팀 인권백서’ 발간 

지음 기자

국내 최대의 통신기업은 KT가 상품판매팀 노동자들에 대해서 갖은 차별행위와 인권탄압을 자행해왔고, 그에 따라 상당수의 노동자들이 정신적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전국 34개 인권단체들의 연대 모임인 인권단체연석회의(인권회의)는 14일 안국동 느티나무 까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KT 상품판매 전담팀 인권백서’ 발간에 맞춰 이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인권회의는 지난 6월에는 KT 상품판매팀 노당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7월 7일 ‘KT의 상품판매팀에 대한 차별행위 및 인권침해 증언대회’에서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인권회의는 9월~10월에 걸쳐 2개월간 전국적으로 17회에 걸쳐 진행한 집단 대면 설문을 진행하고, 11월에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한노보연)와 함께 상품판매팀 노동자 188명을 대상으로 MMPI(미네소타 다면성 인성검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세 차례에 걸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KT 노동자들과 함께 KT 인권백서 발간위원회를 구성하고 백서를 발간했다.

차별, 감시, 소외가 정신질환의 원인

MMPI를 통해 실시한 정신 건강 검진 결과 이례적으로 많은 45%의 노동자에게서 우울, 불안, 긴장, 공포, 신경과민, 피해의식, 사회적 소외 등의 임상척도 중 하나 이상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점수들이 나왔으며 이들은 시급한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진을 담당한 인의협의 배기영 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소견서에서 “이러한 결과는 명예퇴직을 종용받는 과정에서의 극심한 스트레스와 부당한 발령과 차별, 다른 직원들에게 인사나 식사도 함께 하지 말라고 하는 등의 이른바 ‘왕따’ 등의 소외, 미행 감시 등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KT 상품판매팀 노동자들 중 3명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회사측의 미행 감시를 비롯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질환”이 인정되어 산재판정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날은 최근 산재판정 승인을 받은 KT 전북지역 상품판매팀 노동자 박은하 씨가 직접 자신의 사례를 증언했다. 박씨는 30여년 간 114 교환직으로 일하다가 작년 회사의 퇴직 요구를 거부했고, 그에 따라 상품판매팀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낯선 영업직 활동에서 활로를 뚫어보고자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고 오랜 시간 대화가 가능한 목욕탕에서 영업활동을 펼치곤 했다. 그러나 이후 회사로부터 업무지 이탈 등의 이유로 심문을 받는 과정에서 지난 수 개월간의 행적을 담은 사진 수 십 장을 바탕으로 한 채증에 시달렸고, 그 뒤로는 누군가 항상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는 생각에 심각한 정신불안 증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공기업 민영화와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이 낳은 참혹한 결과

연석회의는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공기업 민영화 과정에서 공공성 중심의 경영이 마케팅 지상주의로 변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IMF 이후 불과 몇 년 안 되는 기간동안 정부지분 0%, 해외투자지분 49%의 완전 민영기업으로 변모하였고, 주가관리를 위해 채택한 저투자-고율배당 경영전략으로 인해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는 적고 해외투자자들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는 기업운영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2003년에는 단일 기업 최대규모의 5,505명의 노동자가 명예퇴직되기도 했다.

상품판매팀 노동자들은 노동조합 활동, 114 분사 거부 등의 부당한 이유로 명예퇴직을 강요당했으며, 이를 거부하자 상품판매팀으로 편입되었다. 인권회의는 KT 내부 쪽지를 통해서 내려진 문서에서 ‘상품판매전담 직원에 대한 관리의 최종목표는 퇴출’이라고 밝힌 점, 회사의 직무 분류표에서 상품판매직이라는 직무가 없는 점 등을 증거로 제시하며 상품판매팀은 영업활동을 위한 직무가 아니라 퇴출프로그램이라는 것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인권회의는 △KT 상품판매팀의 즉각적인 해체 △국가인권위의 적극적 조사 △KT노동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의료단체 및 KT의 공동 정기검진 △KT 민영화와 구조조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를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그리고 이러한 최소한의 인권보호 조차 외면할 시에는 반인권 기업 제품 불매운동을 비롯한 강력한 후속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2004년12월15일 9:26:04 
콩아줌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