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의료보험 저지 대책기구 신설
의료연대회의, 의료 '산업화 저지'·'공공성 강화' 주력
민간의료보험 도입을 저지하기 위한 범시민단체 차원의 대책기구가 신설될 전망이다.
민주노총, 경실련, 전농, 보건의료단체 등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의료연대회의’는 지난 23일 정기대표자회의를 열고 △의료시장 개방과 의료산업화 저지 △건강보험 보장성과 의료의 공공성 강화 등을 2대 사업목표로 정하고, 민간의료보험 도입 저지를 위한 기구를 신설키로 했다.
의료연대회의는 이날 회의에서 “올 한해 정부의 의료산업화 정책이 가시화될 것이며, 이는 의료공공성 훼손 및 건강보험제도의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며 “의료산업화 정책과 민간보험 도입저지에 동의할 수 있는 모든 세력을 모아 국민적 지지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의료산업화 관련 법·제도 개정 저지에 전력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의료연대회의 대표자들은 올해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원년의 해’로 정하고 △의료산업화 정책 저지 및 국민건강권 수호 △공공의료 30%, 보장성 확대 80% 약속이행 강제 △보장성 강화의 원년의 해로 만들기 위한 총력투쟁 등을 결의했다.
구은회 기자 press79@labortoday.co.kr
의료연대회의, 의료 '산업화 저지'·'공공성 강화' 주력
민간의료보험 도입을 저지하기 위한 범시민단체 차원의 대책기구가 신설될 전망이다.
민주노총, 경실련, 전농, 보건의료단체 등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의료연대회의’는 지난 23일 정기대표자회의를 열고 △의료시장 개방과 의료산업화 저지 △건강보험 보장성과 의료의 공공성 강화 등을 2대 사업목표로 정하고, 민간의료보험 도입 저지를 위한 기구를 신설키로 했다.
의료연대회의는 이날 회의에서 “올 한해 정부의 의료산업화 정책이 가시화될 것이며, 이는 의료공공성 훼손 및 건강보험제도의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며 “의료산업화 정책과 민간보험 도입저지에 동의할 수 있는 모든 세력을 모아 국민적 지지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과 함께 의료산업화 관련 법·제도 개정 저지에 전력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의료연대회의 대표자들은 올해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원년의 해’로 정하고 △의료산업화 정책 저지 및 국민건강권 수호 △공공의료 30%, 보장성 확대 80% 약속이행 강제 △보장성 강화의 원년의 해로 만들기 위한 총력투쟁 등을 결의했다.
구은회 기자 press79@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