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한노보연

  • English

한노보연

  • 한노보연 20주년
  • 소개
    • 한노보연은
    • 목표와 주요활동
    • 한노보연 연혁
    • 센터 소개
    • 한노보연 선언문
    • 한노보연의 약속
  • 소식
    • 공지사항
    • 활동소식
    • 기고
    • 뉴스레터
  • 자료실
    • 토론회
    • 발간보고서
    • 기타
    • 만든 영상
    • 펴낸 책
  • 일터
    • 일터통권
    • 일터기사
    • 일터구독
  • 후원/회원가입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한노보연] 6월의 두 번째 뉴스레터

뉴스레터

{preheader}

Logo
{subject}
‌
‌


모두가 안녕한 6월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울 상임활동가 조건희입니다.🙏어느새 6월이 끝나가고, 7월을 맞이합니다. 더위와 폭우 등 기후재난에서 다들 안녕했으면 좋겠습니다.
6월 2일,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던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가 사망했습니다. 정부가 협의체 구성을 발표했지만, 발전소 폐쇄 국면 정의로운 전환과 총고용보장 관련 의제는 다뤄지지도 않습니다. ✊ 발전소 폐쇄 전까지 국가가 책임지는 정규직화를 쟁취하기 위한 투쟁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이에 매주 목요일, KPS 비정규직지회 조합원들은 서울 상경 투쟁을 진행합니다. 목요일 상경 투쟁, 월-수 태안 출퇴근선전전 등에 많은 연대 부탁드립니다.

한노보연 노동시간센터, 젠더와노동건강권센터, 선전위원회, 기후정의팀, 당장멈춰팀 등 다양한 단위에서 이뤄지는 사업들도 현재 진행형입니다. 7월에도 여러 활동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한노보연 텔레그램 채널, 홈페이지, 뉴스레터 등을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더운 여름,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여러 활동의 자리에서 뵈어요!

‌

아프면 쉬자! 사례 공모전 (기간 연장)

photo_2025-06-27_13-38-25
‌

✋아프면 쉬자! 사례 공모전 <기간 연장>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에서 아플 때 쉴 수 있는 권리가 필요했던 순간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아픈데 연차, 생활비가 없어서 쉬지 못했거나, 병가를 낸 이후에 불이익을 받았던 사례, 상병수당을 신청했지만 거절된 사례 등 건강, 노동에 대한 어떤 이야기도 좋습니다.
많은 신청 바랍니다.

대상/ 아프면 쉴 권리가 필요한 사람 누구나
기간/ 6월 9일(월)~ 7월 11(금) 17시까지 (18일 발표)
방법/ 1인 1작품(1,500자 이내), 온라인으로 제출
시상/ 총 상금 100만원

💌 사례 신청하기 (https://forms.gle/r6g1VjXeLsXgi7pt7)


‌

아리셀 참사 1주기 집중 서명운동 📣 

photo_2025-06-23_16-28-32
‌

https://bit.ly/아리셀1주기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후 1년, 참사 책임자 아리셀 박순관 형사재판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집단 민사소송도 돌입했습니다.
하지만 아리셀 박순관은 경영책임자가 아니라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오히려 참사로 희생된 고인에게 죄를 뒤집어씌우는 천인공노할 짓을 벌이고 있습니다.
박순관 박중언을 엄정 처벌하기 위해 가족협의회와 대책위는 집중 서명운동에 돌입합니다. 23명 희생자를 기억하는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서명기간 : 6월 23일(월)~7월 6일(일) (2주간)
– 모인 서명지는 재판부에 제출합니다.
– 오프라인 서명 병행. 서명지는 7/4(금)까지 보내주세요. (취합 주소 : 서울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건물 13층 민주노총 노안실)
– 문의 : 02-2670-9137, kctu.ohs@kctu.org

여러분 곁에 더욱 가까이- 지역 소식! 🙌


‌

한노보연 서울

photo_2025-06-19_14-04-44 ‌
‌
[물류센터 야간고정 노동자들의 작업환경과 건강수준 국회토론회]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와 공공운수노조는 작년 하반기에 정부기관인 우편집중국, 우체국물류센터와 민간기업인 쿠팡물류센터, 다이소물류센터 등 물류센터 야간고정 노동자들의 노동환경과 건강실태를 살펴보는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했는데요.
물류센터를 비롯해 야간에 고정적으로 일하는 노동자들은 생활의 균형이 무너지고 건강수준도 나빠진다는 점을 오늘 국회 토론회에서 유청희 집행위원장이 발표했습니다.

자료집 보기
https://kilsh.or.kr/%ed%86%a0%eb%a1%a0%ed%9a%8c/


‌

한노보연 경기

‌ photo_2025-06-18_10-05-41
‌

[걷고 보니 역사였네 – 지역운동의 길을 묻다 북토크]

2025년 6월 17일(화) 민주노총 경기도본부는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 마지막 위원장이었던 양규헌 동지의 저서 ‘걷고보니 역사였네’ – 지역운동의 길을묻다 북토크를 경기도본부 5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했습니다.

저자인 양규헌(전국노동조합협의회 마지막 위원장) 동지가 걸어온 운동의 현재를 만나고 전망을 모색하고, 민주노조운동, 노동자계급운동, 사회주의 정치운동, 불안정노동철폐운동을 현재 하고 있는 동지들과 서로 묻고 답하면서 이후의 운동이 가야 할 길을 함께 고민하는 자리였습니다. 한노보연도 함께했습니다!


‌

한노보연 부산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1 ‌
‌
[부산회원모임 공지]
– 일시 : 7월 10일
다들 일정 빼 놓으셨죠?? ㅎㅎ
이번 회원 모임은 노동시간센터 센터장이신 전주희 동지가 따끈따끈한 철강연구(철강산업 안전시스템 실태와 대안마련을 위한 연구 (2025))를 발제하러 오십니다.

더불어 오랫만에 회원분들과 함께 만나서 이야기도 나누고 회포도 풀었으면 합니다~~^^
다시한번 일정 꼭 확인해주시고, 7월 10일에 만나뵈어요~🙌

매일노동뉴스 칼럼✍️  

연구소에서는 매주 목요일 매일노동뉴스 [안전과건강] 코너에 회원들이 기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동안전보건 현안에 대한 날카로운 입장과 정부 정책 비판 등을 담습니다. 회원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법원 감정료 인상과 더 높아진 권리구제 문턱 (25.06.19)
원청의 안전보건관리 책임, 알아야 제대로 푼다 (25.06.27)

📢 연구소 성명과 기자회견

[기자회견] 학교 급식실 폐암 산재 노동자의 마지막 장례식! 죽음의 학교 급식실 폐암 산재 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급식법 개정 촉구 기자회견 (25.06.24)
[기자회견] 아리셀 참사 1주기, 위험성 평가 실질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발의 기자회견 (25.06.24)

연구소는 성명과 기자회견 등을 통해 여러 투쟁의 현장에도 함께하고 있습니다.
연구소의 목소리,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는 연대체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세요!🙏  


‌
‌

Share this on YoutubeShare this on FacebookTelegram
‌
한노보연에 {email}로 가입 하셨기 때문에 이 이메일을 받으셨습니다. 만약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unsub}를 눌러주십시오.
{webversion} – {unsub}
© {year} 한노보연, All rights reserved.
서울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00, 1308호 (02-324-8633)
부산 |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대로256번길 7, 4층(051-816-8633)
경기 | 경기 수원시 팔달구 경수대로 566 신용빌딩 1층 (031-247-8633)
‌

♥7 2025-07-15 뉴스레터

글 탐색

이전 이전 글: 2025년 6월 중대재해처벌법 3년, 무엇이 변했나.
다음 다음 글: [KILSH] KILSH's Newsletter in June 2025
한노보연
kilshlabor@gmail.com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00 에이스골드타워 1308호 (우08590)
이훈구 동지 추모 공간 동아시아 과로사 통신
한노보연 유튜브한노보연 페이스북한노보연 트위터한노보연 회원 게시판
  •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