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header}
|
8월 첫번째 뉴스레터😄
안녕하세요, 한노보연 소장 손진우 입니다. 간만에 뉴스레터로 인사드립니다. 🤞 폭염을 피해 무사히 8월초 휴가를 다녀오셨는지 궁금합니다.
기상이변이 일상으로 자리잡은지 오래이지만, 점점 더 심해지는 폭염과 폭우에서 더욱 사회구성원 모두의 안전과 건강이 걱정되는 요즘입니다. 기후정의를 요구하는 우리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힘을 얻어야 하는 요즘이 아닌가를 생각합니다.
폭염대책의 실효성을 둘러싼 불만의 목소리가 여러 현장에서 분출되고 있기도 한데요. 이런 목소리가 일터를 넘어, 사회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뉴스레터를 발송하는 오늘은 “쿠팡의 로켓배송 없는 날”이네요. 하루쯤은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하해도 괜찮다는 우리들이 더 많아 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
|
|
|
사회변혁을 꿈꾼 노동안전보건활동가🏴 – 고 이훈구 5주기 추모제
|
|
사회변혁을 꿈꾼 노동안전보건활동가, 연구소 전 소장이었고 상임활동가였던, 이훈구 동지가 떠난지 5년이 되었습니다.
8월 31일(일) 오전 11시에 묘소 앞에서 추모제를 엽니다. 추모제에 함께 해주세요. 추모제 후 함께 식사하는 일정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훈구 동지를 떠올리며, 모여서 같이 얘기나누고 식사도 함께 해주세요.
📢 2025년 8월 31일 (일) 오전 11시 마석 모란공원 내 이훈구 동지 묘소 앞
참가하실 분들 참가신청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bit.ly/leehungumemorial
+ 추모공간 방명록에도 그리운 마음을 남겨주세요.🗨️ http://www.leehungu-memorial.net/
문의: 유청희 한노보연 집행위원장 (010-2556-2046)
|
|
|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노동시간센터 8월 월례포럼 안내]
– 주제 : 특고/플랫폼 노동자의 휴식권 – 발표 : 박수민 (한국노동연구원)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휴게시간은 노동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특수고용직, 플랫폼 노동자들은 휴식권에서도 법적 보호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월례포럼에서는 특고, 플랫폼 노동자들의 휴식권 실태와 보장 방안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일시] 2025년 8월 20일 (수) 오후 7시 [장소] 온라인 줌(참가자에게 링크 발송) [신청]https://bit.ly/시간센터월례토론
*문의: kilshlabor@gmail.com / 02-324-8633
|
|
|
🔈오는 8월 21일 한노보연 당장멈춰 상황실 & 김용균재단 월례포럼을 공동으로 진행합니다.
작년 연구소 안전전문가 초청 기획강좌에 모셨던 재난연구자 이영웅 박사를 모시고, 중대시민재해 예방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함께 고민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중대시민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중심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안 :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 : 이영웅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토론 : 손진우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사회 : 전주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 일시 : 2025년 8월 21일(목) 저녁7시 ○ 장소 : 한노보연 서울사무실(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00, 에이스골드타워 1308호) + 온라인(쥼)
📌참가신청 https://bit.ly/김용균포럼_참가신청
**이번 포럼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당장멈춰 기획팀 초청 강좌와 공동으로 진행합니다. 문의> 010-3260-1942 혜연
|
|
|
한노보연 서울
|
|
|
✊ 서울의 다양한 현장에서,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요구하는 목소리에 함께 했습니다🙌
매주 목요일 저녁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되는 고 김충현 대책위 추모 문화제, 선고를 앞두고 한전KPS 불법파견 판결을 촉구하는 법원 앞 1인시위, 쿠팡의 파업투쟁을 지지하는 노동안전보건단체와 인권단체의 공동기자회견, ‘8월 14일 쿠팡불매! 로켓배송 없는 날’을 알리는 대시민 선전전 등 곳곳의 현장에서 함께 했습니다.
|
|
|
|
한노보연 경기
|
|
|
✊ 8.12 화성 이주노동자 산재 사망사고 철저한 진상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한 긴급 후속대책 요구 기자회견,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항의 면담 ✊
💢8월초 31살의 네팔 이주노동자가 플라스틱 제조공정의 롤러에 팔이 말려 들어가 끼임으로 죽음을 당했습니다. 연구소가 함께 하는 경기이주평등연대, 이주노조가 긴급 후속대책 요구 기자회견을 열었고, 연구소에서는 손진우 소장이 함께 하여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 했으며, 고용노동부 경기지청과의 항의 면담에 참여하여 철저한 후속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
|
한노보연 부산
|
|
|
부산지하철노조 서비스지부 주 5일제 근무 전환을 촉구하는 출근선전전 참가🗯️
주 6일 근무, 장시간노동, 3조2교대 근무, 야간전담근무 등 노동자의 건강권을 훼손시키고 있는 부산도시철도운영서비스(주)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 해소를 위한 투쟁이 진행중입니다. 노동강도강화없고, 임금저하없는 주5일제 전환, 장시간근무를 부르는 교대제 개선을 위해서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부산에서도 부산시청앞 출근 선전전에 함께하였습니다.
|
|
|
|